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1 compile(컴파일) 프로그래머인 사용자가 작성한 코드를 source code(소스코드)라고 부른다. compile(컴파일)은 소스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게 컴퓨터 언어인 0과 1로 변환해주는 과정으로, 소스 코드는 결과적으로 기계어로 변환된다. 기계어로 변환되어 작성되면 새로운 파일이 생기게 되는데, object file(목적 파일)이다. 확장자가 '.obj'인 컴파일된 파일이 생성된다. 컴파일과정에서 작성한 코드에 문법적 오류, 형식의 오류 등이 생길 경우 bug(버그)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확인 후 수정을 거쳐 다시 컴파일을 한다. 이러한 오류 수정 작업을 debug(디버그), debugging(디버깅)이라고 한다. 위의 코드를 실행한 컴파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컴파일 실행 후 어떤 코드상 문제가 없.. 2022. 6. 21. C 프로그램의 구조 C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 하는 구조가 있다. 도입부, main() 함수, 호출되는 함수로 구성되는데 도입부에서는 프로그램을 설명하고, 사용되는 전역변수와 사용자 함수 원형을 선언한다. 선행처리와 매크로(macro)를 정의하기도 한다. main()함수부분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시작한다. 위의 함수는 출력형태가 int이고, 입력형태가 void인 main이라는 함수를 의미한다. void는 반환하는 값이 없을 경우를 의미한다. 이 부분의 함수는 사용자가 작성하기도 하고, 이미 작성된 함수를 사용하기도 한다. 중괄호 내부가 바로 함수를 작성하는 부분인데, 함수의 몸체(body)라고도 불린다. 작성된 코드 문장들은 순차적으로 실행되는데 그 순서는 위에서 아래로, 절차지향적인 C언어의 특성을 반.. 2022. 6. 20. C++ 문장 구조 통합 개발 환경 프로그램도 깔고, 본격 C++ 코드 작성에 앞서 코드 문장 구조를 살펴보자. 코드 한 줄에는 단어, 연산자, 문자, 숫자, 문장부호, 문자열, 공백 등이 문법에 따라 나열된다. 한 줄을 마칠 때는 끝에 세미콜론(;)을 붙여서 다음 문장과 구별한다. 중괄호 '{' 와 '}' 로 묶인 코드들은 블록(block)이라고 부른다. 함수의 몸체라고도 불린다. 2022. 6. 16. 통합 개발 환경(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코드를 작성하는 편집기인 에디터, 기계어로 바꿔주는 컴파일러, 작성한 코드를 다른 프로그램과 실행 프로그램으로 병합하는 링커, 프로그램의 오류를 찾아내는 디버거 등이 있어야 하지만, 통합 개발 환경(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이 등장하면서 각각의 프로그램을 따로 갖고 있지 않아도 되는 편리한 환경을 맞이하게 되었다. 비주얼 스튜디오(Visual Studio),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Visual Studio Code), Dev C++ 등 다양한 통합 개발 환경을 갖춘 프로그램이 있다. 한 가지 프로그램 사용법을 잘 숙지하면, 프로그램 코드 작성에서부터 프로그램 빌드까지 한번 할 수 있어 효율성을 느낄 수 있을.. 2022. 6. 15.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다음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