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9

C의 시작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인 C언어는 1972년 미국 벨(Bell) 연구소의 데니스 리치(Dennis Ritchie) 연구원이 개발한 시스템 기술용 언어로, 처음엔 소프트웨어 개발용 운영체제인 유닉스(UNIX)에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C언어의 'C'의 의미는 당시 벨 연구소에 진행했던 프로젝트가 알파벳순서를 딴 A, B가 있었는데 B 다음 C 프로젝트에서 유닉스를 개발하던 중 데니스 리치가 컴퓨터 언어를 개발하게 되어 'C'언어라 칭하게 되었다. C언어는 개발 이후 오늘날까지 컴퓨터 운영체제에서부터 각종 응용 프로그램, 로봇 제어, 유무선 통신 시스템 등 다양한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으며, 이후 객체지향 개념이 추가되어 C++언어 등장에도 영향을 주었다. C언어는 논리적이면서도 구조적이며, .. 2022. 6. 12.
C, C++주석 C, C++에서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실제 코드는 아니지만 프로그래머나 코드를 보는 다른 이에게 공유하고 싶은 내용이 생길 수도 있다. 주석( 註釋, annotation, footnote, comment)은 바로 이런 용도로 쓰이는데, 사전적 의미는 '낱말이나 문장의 뜻을 쉽게 풀이함. 또는 그런 글'이다. C, C++ 코딩하다가 주석를 만들어 처리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주석은 컴파일에 영향을 주지 않고, 실제로 코드가 작동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컴파일의 대상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없어도 무방하다. 주로 코드에 대한 설명이나 개발자가 코드를 알아보기 위한 메모 등으로 작성하며, 코드를 다른 개발자가 분석할 경우 참고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주석처리의 방법은 첫번째는 '/*'.. 2022. 6. 9.
C++의 시작 C++은 C언어에서 발전한 언어로, C언어와의 호환성, 객체 지향, 타입 검사, 실행시간의 효율성 극대화를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C++의 소스 프로그램 파일(.cpp, .cxx, .C)은 처리하고자 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이 들어있는 파일이다. C++의 헤더파일(확장자: .h)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필요하거나 중요한 정보인 클래스, 함수의 원형, 매크로, 전역 변수, 상수 등 여러 소스 파일에 공통적으로 선언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단독으로 컴파일되지 않고, #로 시작하는 선행 처리기 지시어(preprocessor directives)에 의해 소스 프로그램 파일에 삽입되어 함께 컴파일된다. 이때, 컴파일러(compiler)로 생성된 목적 코드는 바로 실행이 어렵고, 링킹 과정을 거쳐야 한다. .. 2022. 6. 8.
IoT(Internet of Thing, 사물 인터넷) 사람이 개입하지 않고, 사물과 사물이 통신하는 것. IoT(Internet of Thing, 사물인터넷)는 모든 사물들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호간에 통신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람, 사물, 공간 등 모든 것들(Things)이 인터넷(Internet)으로 서로 연결되어 모든 것들에 대한 정보가 생성, 수집되고, 공유, 활용되는 환경에서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끼리 대화를 나눕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물끼리 통신을 통해 주고 받을 수 있는 센싱 기술이 있어야 합니다. 센서 종류로는 스마트폰의 가속 센서,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온도/습도 센서, RGB센서, 밝기 센서(Light Sensor), 심장 박동 센서(Heartbeat Sensor) 등이 있고, IoT 활용 예로는 유라이크 코리아의 라이.. 2022. 6. 1.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