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09

시, 분, 초로 표현된 시간을 초 단위로 변환하기 1시간은 3600초, 1분은 60초. 시간을 표현하는 단위 시간, 분, 초를 입력하여 그 시간이 총 몇 초인지 알아보는 코딩을 해보자. 정수형으로 시간, 분, 초를 입력받아, 초를 구하는 식에 대입해 그 결과값을 얻는 과정이다. 변수 설정할 때 분을 나타내는 minutes을 min으로 하려 했으나 min은 최소값을 구하는 함수이기 때문에 변수명으로 설정할 수 없었다. 이렇게 함수는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걸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컴파일 후 시간, 분, 초 순으로 임의적으로 입력한 후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금 흘러가고 있는 이 시간은 매우 소중하다. 1분 1초 아깝지 않게 사용하자라는 말도 있듯이 매 시간, 매 순간, 하루하루를 소중하게 생각하고 알차고, 의미있게 보내자는 마음을 갖으면 .. 2022. 7. 24.
주사위 2개 랜덤으로 던져 두 주사위의 합 구하기 주사위 2개를 던져 게임판을 이동한 후 아이템을 얻는 게임이 있다. 주사위 게임은 현실에서도, 게임 내에서도 어떤 결과가 나올지 모르는 운이라 생각하다가 코드로 짜 보면 어떨까 싶어 한번 해보았다. 다음은 주사위 2개를 랜던으로 던져 두 주사위의 합을 구하는 코딩이다. 주사위 1,2를 정수형으로 선언하고, 6개의 숫자 중에서 랜덤으로 나오게 설정하였다. 그리고, 랜덤으로 나온 수를 출력하고, 그 합도 출력하는 간단한 코딩이다. 컴파일하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 이 결과는 수많은 랜덤 결과 중의 하나로, 재 컴파일하면 다른 결과를, 매번 할 때마다 다른 결과를 얻게 될 것이다. 주사위의 수를 늘리면 그 수를 추가하고, 주사위의 종류를 다각형이라고 변경하면 랜덤의 숫자가 6이 아니라 9,12 등으로 바꿔볼 .. 2022. 7. 23.
Data Warehouse(데이터 웨어하우스) Data Warehouse(데이터 웨어하우스)는 데이터를 쌓아놓는 곳을 말한다. 데이터들은 최소 비용으로 최적화되어 있지 않고 비효율적으로 배치된 상태에 있다. 이 데이터들은 사용자의 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 기간 시스템에서 추출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주제적, 시간적, 통합적 데이터를 공통 형식으로 변환해서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말한다. 통합된 데이터에 대한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 온라인 분석 처리)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2022. 7. 22.
UNREAL ENGINE Epic Games의 Unreal Engine은 3D 게임엔진으로 각종 PC, 모바일 대작 게임 등 개발에 사용되었다. Unreal Engine 4 버전에서는 게임을 포함하여 영화, 애니메이션, 설계, 디자인, VR, AR 등 분야로 그 활용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언리얼 엔진 1부터 5까지 거듭하면서 게임엔진으로써 장단점을 가지고 있고, 많은 게임 개발자들에게 엔진이라는 틀을 제시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최근에 선보인 Unreal Engine 5는 이전 버전에서는 보지 못한 새로운 기능들이 추가 되었으며, 엔진 사용을 전면 무료로 제공하여 인디 게임 개발자에게 좋은 소식이 되었다. 하지만, 언리얼 엔진으로 만든 게임 판매량이 일정 수준을 넘어가면 로열티를 지불해야 한다. 언리얼 엔진 다운로드는 http.. 2022. 7. 21.
M2M(사물지능통신) M2M은 Machine to Machine의 약자로 사물지능통신이라고 부르며, 사물인터넷과 비슷한 개념이다. 사물지능통신은 사람이 개입하지 않고 사물과 사물 간 지능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상호 소통하는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를 의미한다. 버스, 지하철 도착 알림 서비스 등에 사용되고, 사물 간 정보를 수집된 정보가 사물지능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정보가 전송되어 필요한 곳에서 언제든지 받아볼 수 있다. 2022. 7. 21.
Metaverse(메타버스) 메타버스(Metaverse)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는 가운데 과연 메타버스가 무엇일까? 메타버스는 3차원 가상세계로, 가상·초월과 세계·우주의 합성어이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고, 현실에 가까워진 가상현실세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점차 인간이 살 수 있는 새로운 디지털화된 환경으로 발전하고 진화하고 있다. 메타버스에서는 가상과 현실 구분 없이 개인의 존재감으로 활동하고, 타인과 소통과 교감을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콘서트, 축제, 설명회, 전시 등을 메타버스 내에서 열리기도 하는데, 직접 대면으로 가보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과 연결성으로 접속만으로 사람들은 정보를 교류하고, 유통하고, 소비하며 거래할 수도 있다. 물리적인 접촉은 없지만, 사용자는 사회적 공간이라고 느끼고,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에서 하는 .. 2022. 7. 20.
반응형
LIST